윤석열 대통령 "수능 킬러 문항, 우리 아이들 갖고 장난치는 것”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대통령실 참모진에게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초고난도 문제인 일명 ‘킬러 문항’ 출제를 배제하라 지시하고, 교육 시장의 정상화를 주문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앞으로 공정한 수능이 되도록 공교육 과정 내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 기법을 고도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교육부 수장으로서 모든 가능한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협의회’에 참석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출제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몰았다는 지적이 오랫동안 있어왔음에도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방치한 데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 정부가 방치한 사교육 문제, 특히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힘든 와중에 학원만 배불리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대통령이 이 문제를 여러 차례 지적하셨음에도 신속하게 대책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교육부 수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킬러 문항’ 배제가 변별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저직에는 “일각에서 소위 ‘물수능’ 이슈로 치환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공정한 수능은 결코 물수능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며 “우리 아이들이 학원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하는 공정한 수능이 돼야 한다는 의미이고, 저는 이러한 수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그는 “그동안 논란이 돼 온,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은 소위 ‘킬러 문항’은 시험의 변별성을 높이는 쉬운 방법이지만, 이는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에게 “수십만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부적절하고 불공정한 행태이다. 약자인 우리 아이들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이라며 “고도 성장기에는 사교육 부담이 교육 문제에 그쳤지만, 저성장기에는 저출산 고령화 대비 측면에서 치명적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발언이 사교육 시장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학교 진도를 따라가기 버거워 하는 일부 학생들에게 사교육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도 전했다.
https://link.coupang.com/a/0yJ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