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교육2018. 3. 11. 15:57
반응형




중용요지는 요순 임금의 천하 통치의 정신이 도통인데, 이 도통의 요체는 중용에 있으므로 이를 터득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인간적 욕심과 도덕적 본성이 함께 내재되어 있어,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인간적 욕심이 없을 수 없으며 가장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도덕적 본성이 없을 수 없는데, 두 마음을 다스리는 이치가 중용이다. 도덕적 본성상 자기 자신의 주체가 되도록 하고 인간적 욕심이 매번 도덕적 본성의 명을 듣게 하는 것이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길이다. 이를 위하여 성(性), 도(道), 교(敎)라는 개념으로 천도와 인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성은 하늘이 준 사람속에 있는 하늘의 속성이다. 도는 하늘이 부여한 본연의 성을 따르는 것이다. 효도와 자식 사랑, 형제간의 우애, 가정의 화목, 이웃 사랑이 도이다. 교는 도를 마름질하는 것인데, 도를 구체화한 교훈, 예절, 법칙, 제도 등으로 구체화된 것을 말한다. 《중용》의 주요 내용은 성(誠), 중용, 중화(中和)이다. 성은 진실무망이고, 중용은 치우치거나 기대지 않고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평상의 이치다. 중화는 실천적 측면에서 중을 설명한 것이다. 희노애락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중이라고 하며, 일어나고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고 한다. ---- #안철수_반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햇볕정책_폐기? #안철수_햇볕정책_공과? #안철수_탈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바른정당_통합은_新3당야합 ---- 인동초TV 카카오톡 채팅방 https://open.kakao.com/o/g0UfgGx ---- 중용 강의 1강 - 도올 김용옥선생- 중용 강의 1강 - 도올 김용옥선생-

반응형
Posted by 민주평화뉴스_대표기자
문화교육2017. 12. 12. 22:59
반응형




삼봉 정도전의 민본(民本)  -광주MBC 애니다큐-



조선을 대표하는 선비 10인의 발자취와 철학을 '애니다큐'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조명해 역사인물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인 작품

(2012년 제작)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 무신, 유학자이자 시인이며, 외교관, 정치가, 유교 사상가, 유학 교육자이다. 조선의 초기 성리학자의 한사람이며,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峯, 三峰),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삼봉 정도전의 민본(民本)  -광주MBC 애니다큐-



----


#안철수_반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햇볕정책_폐기? #안철수_햇볕정책_공과?

#안철수_탈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바른정당_통합은_新3당야합


----


인동초TV 카카오톡 채팅방

https://open.kakao.com/o/g0UfgGx


----


삼봉 정도전의 민본(民本)  -광주MBC 애니다큐-

반응형
Posted by 민주평화뉴스_대표기자
문화교육2017. 11. 28. 20:33
반응형




[다큐멘터리] 동학농민혁명 -전북의발견-

[다큐멘터리] 동학농민혁명 -전북의발견-

반응형
Posted by 민주평화뉴스_대표기자
문화교육2017. 11. 23. 19:16
반응형




제122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대회 및 전주화약 기념제 (2016)

제122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대회 및 전주화약 기념제 (2016)


제122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대회 :    *1부 - 식전 공연,      *2부 - 기념식

*일 시 :2016(포덕157)년 10월 11일(화)  13 : 30


----


#안철수_반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햇볕정책_폐기? #안철수_햇볕정책_공과?

#안철수_탈호남 #안철수_반개혁 #안철수_탈햇볕정책

#안철수_바른정당_통합은_新3당야합


----

반응형
Posted by 민주평화뉴스_대표기자
문화교육2017. 11. 4. 14:35
반응형





묵자가 이야기 하는 겸애사상 -강신주교수-

묵자가 이야기 하는 겸애사상 -강신주교수-


묵자(墨子, BC 479~BC 381)

중국의 사상가로 제자백가의 하나인 묵가의 시조. 본명은 적(翟). 겸애를 기본 철학으로, 전쟁에 반대하며 소박한 삶을 지향했다. 겸애(兼愛)는 곧, 겸상애(兼相愛)를 뜻하며, 이는 '모든 인간을 똑같이 사랑한다'는 뜻이다. 절대 권력의 부재로 다양한 사상들이 용광로처럼 들끓던 시대인 춘추전국시대에서 정치적 갈등을 없애는 방법으로 묵가에서 선택한 것이 '사랑'으로 적을 없애는 겸애(兼愛)이며, 따라서 겸애는 당연히 반전주의적 성격을 지닌다.

반응형
Posted by 민주평화뉴스_대표기자